3년째 계속 키우던 히아신스가 꽃을 점점 적게 피우고 있어서 어떻게 할까 고민하다가 새로운 히아신스를 샀다. (반려동물만큼 반려식물도 스스로 관리 할 만큼 사는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식물은 삽목이 잘되므로 더욱 고민)
마트에서 아무 화분이나 골라 3개에 8000원에 팔고 있었다. 그래서 Saxifraga Arendsii (천상초, 운간초등등 여러이름을 가지고있다.), 히아신스, 칼랑코에를 담아왔다.
그런데 마땅하게 분갈이할 화분이 없었고 화분살때까지 기다리자니 식물들이 축축 처져있어서 고민하다 포트에 물을 주었다.
그리고 오늘 히아신스가 포트에 너무 꽉차 집에남은 작은 화분에라도 우선 옮겨야겠다고 생각했다.
분갈이는 화분흙이 말랐을때 하는것이 좋다고한다. 하지만 포트가 터질것같은 모습의 히아신스는 흙이 마르지 않았지만 도전하기로 했다. 미안~ ;-)
난 개인적으로 이 화분은 별로다 이유는 물구멍 때문이다.
조금씩 나눠서 붓다 나중에 망이 다가려지면 그때 막 붓는다.
물이 고이면 구근이 망가지기때문이다.
또한 포트에 담겨있는 화분들의 흙은 대부분 찰흙같이 찰지달까. 더욱 분리가 어렵다. 그래서 우선은 포트에서 분리한채로 그냥 심기로 했다.
히아신스는 심을때 노지(땅)에서는 구근 크기의 2배정도 깊게 화분에서는 구근의 끝부분이 쬐끔 보일정도로 심으면 된다고 한다.
집에 있는 보라색 히아신스는 당시에 화분에 심을때가 검색이 잘 안돼서 큰화분에 1.5배 깊이 심었었다. 그래도 잘자랐다.
어쨌든 지금은 화분이 작고(가로, 세로 모두) 꽃도 달려있어서 깊이 심지 않기로했다.
그 후 흙을 더 부어 구근을 덮어준다.
히아신스 구근은 꽃이 진 후 진꽃을 자르고 남은 잎들이 광합성도 열심히하고 영양분도 많이 먹어서 구근을 크고 튼튼하게 키운다. 그럼 다음해에도 예쁜 꽃을 볼 수 있다.
나는 보통 한번 화분에 심고 잎이 다 진 후에도 구근을 캐지 않는다. 하지만 부지런한 사람들은 잎까지 다 마르면 구근을 캐내어 보관해두고 9월에 다시 심는다.
화분에 계속 두는 나로서는 잎까지 다 마르고 나면 구근을 꺼냈다가 9월에 큰화분에 심을지 아니면 잎이 지고나서 현재 상태에서 구근위에 흙을 덮을지 고민이 된다.
우선 그것은 잎이지면 생각해보자.
히아신스는 꽃이 활짝 피면 꽃을 자르는것이 구근을 키우는데 도움이 된다고 한다. 히아신스는 소멸 구근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꽃이 진 후 자르고 잎을 관리하는것도 괜찮다고 한다.
마트에서 아무 화분이나 골라 3개에 8000원에 팔고 있었다. 그래서 Saxifraga Arendsii (천상초, 운간초등등 여러이름을 가지고있다.), 히아신스, 칼랑코에를 담아왔다.
그런데 마땅하게 분갈이할 화분이 없었고 화분살때까지 기다리자니 식물들이 축축 처져있어서 고민하다 포트에 물을 주었다.
그리고 오늘 히아신스가 포트에 너무 꽉차 집에남은 작은 화분에라도 우선 옮겨야겠다고 생각했다.
분갈이는 화분흙이 말랐을때 하는것이 좋다고한다. 하지만 포트가 터질것같은 모습의 히아신스는 흙이 마르지 않았지만 도전하기로 했다. 미안~ ;-)
난 개인적으로 이 화분은 별로다 이유는 물구멍 때문이다.
조금씩 나눠서 붓다 나중에 망이 다가려지면 그때 막 붓는다.
물이 고이면 구근이 망가지기때문이다.
또한 포트에 담겨있는 화분들의 흙은 대부분 찰흙같이 찰지달까. 더욱 분리가 어렵다. 그래서 우선은 포트에서 분리한채로 그냥 심기로 했다.
히아신스는 심을때 노지(땅)에서는 구근 크기의 2배정도 깊게 화분에서는 구근의 끝부분이 쬐끔 보일정도로 심으면 된다고 한다.
집에 있는 보라색 히아신스는 당시에 화분에 심을때가 검색이 잘 안돼서 큰화분에 1.5배 깊이 심었었다. 그래도 잘자랐다.
어쨌든 지금은 화분이 작고(가로, 세로 모두) 꽃도 달려있어서 깊이 심지 않기로했다.
그 후 흙을 더 부어 구근을 덮어준다.
히아신스 구근은 꽃이 진 후 진꽃을 자르고 남은 잎들이 광합성도 열심히하고 영양분도 많이 먹어서 구근을 크고 튼튼하게 키운다. 그럼 다음해에도 예쁜 꽃을 볼 수 있다.
나는 보통 한번 화분에 심고 잎이 다 진 후에도 구근을 캐지 않는다. 하지만 부지런한 사람들은 잎까지 다 마르면 구근을 캐내어 보관해두고 9월에 다시 심는다.
화분에 계속 두는 나로서는 잎까지 다 마르고 나면 구근을 꺼냈다가 9월에 큰화분에 심을지 아니면 잎이 지고나서 현재 상태에서 구근위에 흙을 덮을지 고민이 된다.
우선 그것은 잎이지면 생각해보자.
히아신스는 꽃이 활짝 피면 꽃을 자르는것이 구근을 키우는데 도움이 된다고 한다. 히아신스는 소멸 구근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꽃이 진 후 자르고 잎을 관리하는것도 괜찮다고 한다.
'초록초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분 선반 (다육이 선반) (0) | 2017.03.21 |
---|---|
히아신스가 시름시름 (0) | 2017.03.17 |
히아신스 향수 (0) | 2017.03.13 |
산세베리아 분갈이 (새순 분리) (0) | 2017.03.10 |
동향집은 아침이 아름다워 (히아신스, 무스카리, 시클라멘 ) (0) | 2017.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