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에 심하게 냉해를 입은 염좌(크라슐라오바타)를 살리고 난후 염좌가 한개뿐이어서 두개정도 늘리고 싶었다.
계절이 바뀌면서 염좌 줄기 중간이 마르는것 같아서 임의로 마디를 잘라 나눴다.
나누는작업 중에 잎이 몇장 떨어졌고 대부분 말라버렸다. 그 중 한개는 플라스틱에 닮겨있는 산세베리아 옆으로 옮겨 흙으로 덮어두었다.
왠지 식물끼리도 서로 옆에두면 으쌰으쌰 응원을 해줄것 같기때문이다. 그렇지만....싹이 나지 않고 다행이 마르지는 않았었다.
한~~참 수~~개월이 지나 겨울이되고 초록이들을 집안으로 들이면서 염좌 잎사귀도 다육이들 옆으로 자리를 옮겨줬었다.
잊고지내던 어느날 물을 주다 흙이 흩어졌는데 염좌잎 끝부분에서 싹이나고 있었다.
반짝반짝 새싹
추운겨울이지만 으쌰으쌰 힘쓰고 있다.
< 각진잎의 천대전송 >
물이 식물의 대부분인 다육식물이 각진형태로 모양을 만들어가면서 큰다는게 신기할 따름이다.
각진 모습을 보고 있으면 뭔가 시크한 느낌이기도 하고 음....샤프하기도하고
매끄러운 청성미인과 각진 천대전송이 열심히 자라고 있다. 겨울이라 그런지 성장이 더디다.
얼른 화분 가득 채우고 싶은데 내년여름이 되어야 금방 채울수 있을것 같다.
그래도 지치지 않고 기다렸더니 염좌가 싹을 틔워서 다행이다.
무슨일이든 역시 지치지 않고 기다려야 되는것 같다.